Page 52 - 동산문화51
P. 52
동아리 활동
동아리 활동
수학토론부!
신포동 ‘재미난 박물관’에 떴다.
서영아 선생님
나는 수학교사다. 그리고 해마다 학기초에 내가 개설 아무렴 어때?!
하는 동아리는 수학토론부이다. 아니 내가 지었지만 정 아무튼! 난 수학을 사랑하는 이 아이들을 데리고 무슨
말 동아리 이름만 들어도 노잼이라 과연 가입하는 애들 주제로 동아리 활동을 해야 하나 늘 주제 선정에 많은
이 있을까 싶다. 해마다 수포자가 늘고 있다는데… 그 시간을 들인다. 수학 교사로서 수학을 좋아하는 이 아
런데 놀랍게도 해마다 가입하는 학생들은 동아리 정원 이들을 데리고 많은 것을 얘기 나눠보고 싶고, 아직 수
을 넘는다. 우리 학교에 이렇게 노잼인 친구들이 많은 학을 전문적으로 깊이 있게 학습하지 않은 아이들은 어
건지, 아니면 정말 수학을 좋아하는 친구들이 많은 건 떤 생각을 할 수 있을지, 어떤 아이디어를 낼 수 있을지
지, 늘 놀랍다. 혹시 동아리 이름만 그런 거는 아닐까? 궁금하기도 했다.
하는 합리적인 의심이 들겠지만 정말 이름 그대로 동아 솔직히 ‘수학’이라는 학문은 수학 교사인 나도 정말이
리 시간에 하는 주요 활동은 수학과 관련 있는 주제를 지 초등학교 때부터 쭉 알고 지내왔지만 늘 새롭다. 어
가지고 토론하고 이를 결과물로 제출하는 것이다. 떤 방식, 어떤 개념으로 들이대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것
올해도 학기 초에 똑같이 동아리 편성을 했고, 역시나 처럼 보이는,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는 것이 ‘수학’의 매
우리 동아리엔 14명이라는 처음 생각한 정원보다 넘는 력 중 하나인데… 그래서 그 매력을 우리 동아리 애들
학생들이 들어왔다. 우리 학교에는 수학토론부 말고도 에게 보여주고 싶었는데… 우리 아이들, 수학을 사랑
개설된 순수 수학 동아리가 3개 더 있다는 점을 생각하 하긴 하지만 아직 그 정도는 아닌가 싶다.
면 진짜 우리 학교에는 수학을 사랑하는 학생들이 많은 뭐 그럴 수 있지!
것임은 틀림없다. 그래서 아이들의 요구에 못 이기는 척 이번엔 특별히
나가기로 했다. 그냥 나가서 놀아보기로 했다. 그런데
난 쿨하지 못했다. 머리로는 분명 이해했는데 내 손이
문제인 건가? 이미 네이버 검색창에 ‘인천 수학 관련 박
물관’을 쓰고 있었다.
결국 내가 찾은 건 ‘재미난 박물관’이었다. 이제 애들을
설득해야 한다. 벌써부터 머리 뒤꼭지가 시리다. 분명
앞에서는 ‘하루 그까짓 거 놀면 어때?’라고 쿨하게 말해
놓고는 뭐가 또 맘에 걸렸단 말인가?
그래도 동아리 활동 지원비가 제공되니 그나마 다행이
다. 적어도 ‘이런 곳을 돈내고 가야 되나요?’ (맘에 들지
않으면 꼭 나오는 단골 멘트) 이 말은 듣지 않아도 되니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