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6 - 동산문화51
P. 56

동아리 활동

























            인천바로알기는 말 그대로 우리가 인천에 대해 가지                       필요한 대로 구성할 수 있었다. 지역사회의 문제 발견
           고 있었던 타자화된 시선이나 오해에서 벗어나 인천에                       과 해결 방안 모색을 과제로 설정했는데, 건축과 관련

           대해 ‘바로’ 알아보고 그를 통해 인천인으로서의 자부                      해서 배다리를 통해 도시 재생 사례를, 송도를 통해 도
           심을 함양할 수 있는 프로젝트다. 인천이라는 지역에                       시 개발 사례를 탐구하고 아이디어를 얻어 어떤 공간에
           지엽적으로 몰두하는 것 같지만, 오히려 우리가 살고                       대한 개선안을 내는 것으로 풀어냈다.
           있는 로컬에 집중하면서 우리의 실생활과 연계하여 세                        사전 활동이었던 4월 24일에는 인천대학교 건축학부
           계시민으로서의 역할을 찾아가는 것이기 때문에 세계                        가 개항장에 있는 ‘이음1977’이라는 곳에서 전시를 한

           시민성과도 연결된다.                                        다길래 다녀왔다. 인천바로알기 프로젝트의 결과물로
            인천바로알기 사업은 제시된 인천바로알기 탐방코스                        조별로 제안하는 공간에 대한 건축모형을 제작하기로
           와 연계한 2차례의 도보 탐방과 이와 연계된 사전, 사                     했는데, 건축학부 대학생은 어느 정도의 작품을 만드는

           후 활동으로 총 15차시 구성을 요구했다. 지속가능한                      지 볼 필요가 있었다. 또한 ‘이음1977’이라는 공간 자
           도시와 공동체라는 SDGs와 관련하여 ‘세계로 인천바                      체가 유명한 김수근 건축가의 작품이어서 보고 배울 만
           로알기’ 유형으로 신청해서 꽤 자율성 있게 우리에게                       한 특징적인 구조가 많았다.
                                                               인천바로알기 담당자인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수가
                                                              2차례 있었는데, 개항장에서 이루어진 도보 연수와 지

                                                              역사회단체를 초빙한 연수 모두 유익해서 운영에 큰 도
                                                              움이 되었다. 연수에서 알게 된 지역사회단체 대표님을
                                                              강사로 모셔 5월 22일에 송림시장부터 배다리, 개항로

                                                              까지 걸으며 재생된 공간들을 살펴봤다. 8월 21일에는
                                                              송도 트라이볼과 센트럴파크, G타워를 견학했다. 오가
                                                              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어쩔 수 없이 보는 시간이 짧
                                                              았던 것이 아쉬웠다.



















           55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