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 동산문화50호
P. 58

동산
            학셔너리

















            항공우주공학과







                 취재 및 기사 작성    장보경










                                학과 개요
                                평소에 비행기나 우주선을 보고 ‘이건 어떻게 만들어진 거지?’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
                                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학과로, 항공우주공학과(Aerospace Engineeiring)는 비행기, 헬

                                리콥터, 전투기, 우주선 등을 만드는데 필요한 공학 기술을 배우는 학과이다. 때로는 항
                                공우주학과에서 항공기의 조종, 정비, 공항 관제, 공항 운영 서비스 같은 분야도 배울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경우가 있는데 항공우주공학과에서는 위와 같은 내용은 다루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항공우주공학과에선 무엇을 배울까?

                                학교마다 차이점은 있지만 기본적으로 공기역학, 구조역학, 추진공학, 제어공학의 4가
                                지로 분류된 항공우주공학을 배우게 된다. 이와 같은 학문을 배움으로써 궁극적으로
                                는 항공기를 다루는 항공시스템과, 우주선을 다루는 우주발사체 이 두 가지에 대해 배우

                                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미래 자동차의 초고속 열차 에너지에 관한 응용 기술을 배우
                                기도 한다. 항공우주 산업이 미래 산업의 유망한 분야로 꼽히는 만큼 항공우주 공학과에
                                서는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항공우주공학과의 전망은?

                                21세기의 항공우주학은 지난 세기와는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미국과 소련의
                                경쟁이 우주 탐사의 핵심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우주산업은 체제 간 경쟁보다는 우주 그
                                자체를 탐사하고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우주공학의 밝은 미래와
                                도 연결된다. 미래에는 상업적인 우주 여행이 현실화되고, 위성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

           57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