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동산문화50호
P. 33

확률 게임 (장진, 박현수 기자)
                                  우리는 보드게임을 통해 확률의 개념을 재미있고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었다. 기본적인 확
                                 률의 정의와 계산 방법에 대해 배우고 이를 다양한 예제에 적용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베이즈 정리를 통해 조건부 확률을 계산하는 방법을 배우고 이를 통해 다양한 문제를 다루
                                 어 볼 수 있어서 확률에 대해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문제를 푼 우승자에게는 상품
                                 도 주어졌는데 특히 문 고르기 게임이 재미있었다. 이 게임에는 확률의 원리가 숨어 있는데,
                                 처음 3개의 문에서 자동차가 선택될 확률은 1/3이지만, 사회자의 권유에 따라 다른 문으로

                                 선택을 바꿨을 때 정답의 확률이 두 배나 높은 2/3이 되기 때문에 사회자의 권유에 따라 선
                                 택을 바꾸는 것이 훨씬 이득이다. 몬티 홀 문제의 원리를 통해 확률과 통계를 이해하고 이를
                                 보드게임에 적용해 수학적인 사고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었다.



                                 다크 투어리즘 (조우현 기자)

                                  나는 ‘뤼순 감옥(형무소)’를 다크 투어리즘 장소로 선택하여 조사하였는데 이 감옥은 안중
                                 근, 신채호 등의 많은 독립운동가가 수감되었던 감옥이다. 이곳에 직접 방문해 본 적은 없지
                                 만 온라인으로 이 장소에 대해 조사하면서 그 장소에 담긴 우리의 아픈 역사와 현실에 대해

                                 알아보고 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에 대해 다시 뼈저리게 느낄 수 있었다. 다음 수
                                 업에서는 뤼순 감옥을 주제로 한 다크 투어리즘 UCC를 직접 제작하여 뤼순 감옥의 역사와
                                 옛 이름, 건축 과정 및 규모까지 자세히 담아 다른 친구들과 함께 공유해 보는 시간을 갖기
                                 도 하였다.




                                 다 함께 돌자 동네 한 바퀴 (윤경원 기자)
                                  우리 지역의 배다리 헌책방 일대를 탐방하고 우리 지역 곳곳에 있는 역사적인 장소들에 얽
                                 힌 문화·역사적인 이야기를 알아보았다. 드라마 촬영지로 선택될 정도로 아름답게 관리되고

                                 있는 배다리 헌책방에서 매주 시 낭송회 등의 이벤트도 하고 김소월 시인의 전시회도 열린
                                 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인천에서 처음으로 3·1 운동이 발생한 장소이자 류현진 선수의 모
                                 교인 창영초등학교도 탐방하였는데 그곳에서 3·1 독립운동 ‘인천지역 발상지’ 기념비도 볼

                                 수 있었다. 우리 동네를 돌아보면서 우리 곁에 있지만 잘 알지 못했던 역사적인 사실들을 배
                                 우면서 우리의 역사를 알게 되어 뜻깊었다.




















                                                                                          2024 동산문화 50호    32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