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5 - 동산문화51
P. 75
1. 수학과 사회 과목의 기본기 다지기
경제학은 수학적 접근이 중요한 학문이므로 고등학교에서 확률과 통계와 미적
분을 충실히 학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등의 사회
탐구 과목을 수강함으로써 경제와 관련된 배경지식을 쌓는 것이 유리하다.
2. 경제 관련 활동 참여
경제 동아리, 창업 프로젝트, 주식 모의 투자 등 경제와 관련된 활동에 참여해
경제학과에 실질적인 경험을 쌓고, 경제 관련 독서나 다큐멘터리를 통해 경제적 사고를 확
진학하기 위해 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비해야 할 것
3. 입시 준비
대학별로 요구하는 수능 성적(수학과 영어 비중 높음)과 내신 점수를 목표로 체
계적인 학습 계획을 세워야 한다. 면접이나 논술 준비를 통해 경제학에 대한 관
심과 구체적인 학습 경험을 넓혀 나가는 것이 좋다.
1. 금융 및 투자 분야
은행, 증권사, 보험사, 투자회사(애널리스트, 펀드매니저, 금융컨설턴트)
2. 정부 및 공공기관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통계청, 공기업(경제 정책 분석가, 공공데이터 전문가)
3. 기업 및 경영 컨설팅
대기업의 전략기획팀, 경영 컨설팅 회사, 마케팅 분석가
경제학과 4. 국제기구 및 NGO
졸업 후의 IMF, 세계은행, UN, OECD 등에서 글로벌 경제 문제 해결에 참여
진출 분야
5. 학계 및 연구소
경제학 교수, 연구원(정책 연구소, 경제연구소)
6. 언론 및 미디어
경제 전문 기자, 방송국 경제 해설가
※ 서울 및 수도권 주요대학 경제학과 24개(여대 제외)
서울 서울대학교 | 고려대학교 | 연세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서강대학교
한양대학교 | 경희대학교 | 동국대학교 | 건국대학교 | 홍익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 국민대학교 | 세종대학교 | 단국대학교
경제학과 한국외국어대학교 | 가톨릭대학교 | 상명대학교 | 명지대학교
개설 대학 인천 인하대학교 | 인천대학교
경기 가천대학교 | 경기대학교 | 수원대학교 | 아주대학교
2025 동산문화 51호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