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자료
일제시대 인천 10대 부호 중 한 사람이었던 '이흥선(李興善·1877~1975년)'의 발자취를 찾기란 결코 녹록지 않은 일이다.
앞에 나서지 않고 뒤에서 조용히 일을 도모했던 겸양의 성품이 한 가지 이유이고, 후손들도 이미 작고했거나 뿔뿔이 흩어져 그의 삶의 궤적을 추적하기가 어렵다는 현실이 또 다른 이유다.
이흥선은 일본제국주의가 내선일체를 부르짖으며 중·일전쟁을 일으키는 등 우리나라를 극도로 착취하던 1938년 7월14일, 인천의 유지들과 힘을 모아 인천 최초의 민족사학인 '인천상업강습회'를 개교시킨 주인공이다.
창씨개명, 조선어교육에 대한 탄압이 극심하던 때 청소년들에게 우리말과 우리글을 교육하기 위해 사재를 털어 지금의 동산중·고등학교의 전신인 민족학교를 연 것이다.
중구 율목동 239에 둥지를 튼 인천상업강습회는 이듬해 4월1일 인천상업전수학교로 개편하고 학생 120명, 교사 3명으로 개교식을 갖고 교육을 시작했다.
이흥선을 비롯 김윤복, 유군성, 김세완, 김종섭 등 당시 인천에서 내로라하는 부호들은 각기 사재를 털어 인천상업전수학교 설립에 밀알을 뿌렸다.
66년의 세월동안 인천상업강습회→인천상업전수학교→동산중→동산고로 발전하면서 인재를 길러 온 학교법인 동산육영회의 역사는 이렇게 시작됐다.
인천시사 인물편에는 이흥선이 '김포' 출생으로 기록돼 있지만 사실은 '황해도'라고 한다.
인천시사 편찬위원회 김양수(71) 상임위원에 따르면 이흥선의 가족이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김포로 이주했고 9살 소년이 된 이흥선은 입에 풀칠할 요량으로 혈혈단신 인천에 올라 왔다.
당시 일본인이 경영하던 미두(米豆)거래소 사환으로 취직한 그는 19살 청년으로 성장할 때까지 이 곳에서 10년간을 열심히 일했다.
결혼을 위해 회사를 그만 두려 하자 미두거래소 일본인 사장은 당시로선 어마어마한 돈 1천환(10억원 상당)을 퇴직금으로 지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