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 - 동산문화51
P. 5

그렇다면 어떻게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을까? 학생들의 인식과 행동의 변화를 이

                      끌어내기 위해서는 교육의 역할이 중요하다. 인류가 직면한 중요한 과제를 학교 교

                      육을 통해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교육의 핵심은 학생들이 문제를 인식

                      하고 질문하며 스스로 답을 찾도록 돕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 학교는 재활용 교

                      육, 학교 숲, 그리고 학교 텃밭을 활용하여 기후 위기와 환경 재난 시대에 적합한 교

                      육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탄소 배출과 플라스틱 쓰레

                      기를 줄이는 등 중장기적인 미래를 바라보는 환경 교육을 실천하고자 한다.

                       10여 년간 치매로 고생하시던 아이들 외할머니는 사용한 휴지를 다시 주머니에

                      넣고 아픈 다리로 이 방 저 방 불을 끄러 다니며 ‘아깝다’라는 말을 달고 사셨다. 없

                      이 살았던 세대의 고리타분한 절약 정신이라 여겼는데, 아이들 외할머니가 아까

                      워하는 건 물건만이 아니었다. 집에서 키우던 화분의 꺾인 꽃송이를 아까워하시는

                      모습을 뵙곤 하였다. 그런 모습을 통해 “아까운 마음은 아끼는 마음과 같다”라는

                      걸 알았다.

                       자신의 주머니에서 나가는 용돈 말고는 아까운 것이 무엇인지 모르겠다던 그 아이

                      가 물과 공기와 햇볕과 바람과 나무를 아까워하게 된다면, 곁에 있는 이들, 함께 살

                      아가는 동물들, 먼 나라 타인의 삶까지 아끼는 마음이 생긴다면 그보다 훌륭한 환경

                      교육은 없을 것이다.









                                                                                         2025 동산문화 51호       4
   1   2   3   4   5   6   7   8   9   10